6.MVC패턴

강재영's avatar
Aug 16, 2024
6.MVC패턴
 
💡
MVC 패턴은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입니다. 이 패턴은 애플리케이션을 세 가지 주요 컴포넌트로 나누어, 각 컴포넌트가 특정 역할을 담당하게 하여 코드의 유지보수성, 재사용성, 확장성을 높입니다.
notion image

1. MC (Model-Controller) 패턴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데이터만 반환하는 패턴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컨트롤러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필요한 데이터를 모델로부터 가져오고,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합니다. 보통 JSON, XML, 또는 다른 포맷으로 데이터가 전송됩니다.
 

2. 정적 데이터 반환 (Static Content)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정적인 콘텐츠(HTML, CSS, JavaScript 파일 등)를 그대로 반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데이터는 동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며, 미리 준비된 정적인 파일을 그대로 반환합니다.
 

3. MVC 패턴

💡
서버 측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템플릿 엔진을 사용해 뷰를 렌더링한 후, 클라이언트에게 완성된 HTML 문서를 반환하는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뷰 템플릿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HTML 형태로 변환한 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즉, MC 패턴은 서버가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반환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정적 데이터 반환은 서버가 동적인 처리 없이 미리 준비된 정적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VC 패턴은 서버가 템플릿 엔진을 통해 데이터를 HTML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완성된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Share article

강재영 블로그